애드센스 승인된 도메인의 서브도메인 티스토리와 워드프레스에서 사용하기

이차 도메인 사용을 통해 애드센스 승인을 받지 않고 새로운 사이트에 바로 애드센스 광고를 송출할 수 있습니다. 승인된 도메인을 ABC.com이라고 한다면 1.ABC.com과 2.ABC.com라는 서브도메인을 생성하고 이 두 서브도메인을 티스토리와 워드프레스에 사용하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구글 애드센스(AdSense)는 한 번 승인된 도메인을 사용하여 다양한 플랫폼에서 광고 수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따라서, 애드센스에 승인된 도메인은 티스토리워드프레스와 같은 플랫폼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구글 애드센스 승인된 도메인의 서브 도메인을 티스토리와 워드프레스란 다른 플랫폼에서 사용하기 위해 어떻게 설정해야 할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승인된 도메인의 서브 도메인을 서로 다른 플랫폼에 적용하기

승인된 이차 도메인의 서브도메인 생성하기 – 호스팅케이알

저는 도메인을 호스팅 케이알을 통해 구입하고 관리하고 있습니다. 워드프레스는 클라우드 웨이즈를 통해 관리하고 있습니다. 다른 사이트를 이용한다고해도 천천히 읽어보고 맥락을 이해하면 적용이 가능할 것이라 생각됩니다.

호스팅케이알 바로가기

호스팅케이알에서 구입한 도메인은 DNS/레코드 관리 메뉴에서 서브도메인 설정이 가능합니다.

티스토리의 경우 유형은 CNAME, 호스트 이름은 내가 원하는 서브도메인, 값은 host.tistory.io를 입력합니다.

워드프레스에 적용할 서브도메인의 경우

유형은 A, 호스트 이름은 내가 원하는 서브도메인, 값은 Application Credentials 항목의 Public IP 항목을 적용해 줍니다. 100.247.200.110 이런 형식을 띄게 됩니다. 개인마다 Public IP의 숫자내용은 모두 다릅니다.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애드센스 승인 받은 이차도메인: ABC.com

티스토리에 적용할 서브도메인: 1.ABC.com

워드프레스에 적용할 서브도메인: 2.ABC.com

아래의 표는 도메인 구매 사이트 – 호스팅 케이알에서 적용해주는 내용입니다.

플랫폼유형호스트 이름설명
티스토리CNAME원하는 서브도메인
예시의 1
host.tistory.io서브도메인을 티스토리에 연결하기 위해 CNAME 레코드 사용
워드프레스A원하는 서브도메인
예시의 2
Public IP (예: 100.247.200.110)워드프레스 서버의 Public IP를 기반으로 A 레코드 적용

참고:

Public IP는 개인마다 다르며, 클라우드웨이즈의 Application Credentials 항목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서브도메인 설정은 호스팅케이알의 DNS/레코드 관리 메뉴에서 수행 가능합니다.

클라우드웨이즈 바로가기

승인된 도메인

클라우드웨이즈에서는 My Applications – Access Detail – Application Credentials 메뉴를 통해 Public IP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ABC.com이란 이차도메인을 애드센스 승인을 받고

1.ABC.com은 티스토리 서브도메인으로

2.ABC.com은 워드프레스 서브도메인으로 사이트를 각각 제작합니다.

구글 애드센스 승인을 받지 않고 애드센스 광고를 송출 할 수 있습니다.

1. 애드센스 승인된 도메인과 플랫폼 간의 연동 가능 여부

(1) 티스토리에서 사용

조건: 애드센스 계정과 연동하려는 도메인이 이미 승인된 상태라면, 티스토리에 해당 도메인을 연결하고 애드센스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설정 방법:

1. 티스토리 관리자 페이지에서 “블로그 설정 > 2차 도메인”에 승인된 도메인을 연결합니다.

2. 애드센스 광고 코드를 티스토리 HTML 편집기(스킨 편집)에 삽입하여 광고를 표시합니다.

(2) 워드프레스에서 사용

조건: 워드프레스 사이트 역시 승인된 도메인을 사용 중이라면 애드센스를 통해 광고를 게재할 수 있습니다.

설정 방법:

1. 워드프레스에 “애드센스 플러그인” 또는 “Google Site Kit” 플러그인을 설치합니다.

2. 승인된 애드센스 계정을 연동하고 광고 코드를 삽입합니다.

2. 여러 플랫폼에서 동일 도메인 사용 시 주의사항

(1) 도메인은 한 플랫폼에만 연결 가능

• 도메인은 동시에 두 개의 플랫폼(예: 티스토리와 워드프레스)에 연결할 수 없습니다. 하나의 플랫폼에 연결된 상태에서 다른 플랫폼에서도 활용하려면 서브도메인을 생성하고 연결 설정을 해줘야 합니다.

(2) 콘텐츠 품질 유지

• 애드센스는 광고를 게재하는 사이트의 콘텐츠 품질을 엄격히 관리합니다. 워드프레스와 티스토리 각각의 플랫폼에서 동일 도메인을 활용하더라도, 양질의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제공해야 합니다.

(3) 정책 준수

• 두 플랫폼 모두 애드센스 정책을 철저히 준수해야 합니다. 특히, 광고의 배치, 클릭 유도 행위, 금지 콘텐츠(성인물, 폭력성 등)에 대한 정책을 따르지 않을 경우 계정이 정지될 수 있습니다.

3. 여러 사이트에서 애드센스를 사용하고 싶다면?

애드센스는 하나의 계정으로 여러 도메인과 사이트를 관리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승인된 계정을 기반으로 서브 도메인을 생성하고 사이트를 추가 등록하여 확장할 수 있습니다.

결론

애드센스에 승인된 도메인은 티스토리와 워드프레스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도메인을 동시에 두 플랫폼에 연결할 수 없으므로 서브도메인을 생성하고 각각의 플랫폼에 맞춰 설정을 변경해야 합니다. 또한, 양질의 콘텐츠와 애드센스 정책 준수는 기본적으로 유지되어야 합니다.

프롬제주 오늘N 경기도 고양 한끼에 얼마예요에 소개된 맛집

어그 타스만 클래식과 현대적 감성 겨울철 필수 아이템 태즈먼 사이즈 선택 관리 팁